용산03봇 소개
서울디지텍고에 다니면 한번쯤은 다 써본 용산03봇을 당신은 아는가?
당연히 이 글을 읽고 있는 일반독자들은 디지텍고에 다니지 않을태니 이 봇이 얼마나 유용한지 간단히 설명하겠다.
- 등하교 루트에 있는 정류장만 리스트업하여 편하게 정류장 상태를 알 수 있다.
- 큰버스와 작은 버스 구분이 가능하다.
- 카카오톡 챗봇이라 쓰기 편하다.
용산 03봇에서 특히 중요한점은 2번 기능이다. 용산03은 배차기간이 길고 출퇴근시간 탑승인원이 아주 많아 사람이 꽉차 못타기도 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등교시 버스가 꽉차 놓치는걸 피하기위해 큰버스인지 작은버스인지 확인하는 사용자들이 많다.
문제가 생겼다.
용산03의 버스 차종이 바뀌면서 버스ID가 각각 뒤섞이게 되어 작은버스를 큰버스로 인식하고 큰버스를 작은 버스로 인식하게 되었다.
용산03의 코드를 간단히 살펴본 결과 이는 버스사이즈를 리턴하는 함수에서 인자로 vehId를 받아온 뒤 하드코딩되어 있는 작은버스와 큰버스의 배열을 대조하여 반환하는 방식이여서 발생한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일단 이슈 생성!
이후 기여를 위해 이슈 생성하였다.
https://github.com/resten1497/yongsan03bus_bot/issues/2
남산운수의 버스 차종 교체로 인한 버스 사이즈 구분 문제 · Issue #2 · resten1497/yongsan03bus_bot
이슈 내용 남산운수가 버스의 차종을 바꾸면서 용산 03 챗봇에서 작은버스가 큰버스로 뜨고 큰버스가 작은 버스로 보이는 이슈가 발생하였음.
github.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엔 이슈 해결을 회고하고 풀리퀘까지 보내는걸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tepress로 마크다운 기반 TIL 저장소를 만들자. (0) | 2024.07.10 |
---|---|
2024년, 중학생이 개발자를 꿈꾼다면 특성화고는 아직 할만한 선택지다. (1) | 2024.06.14 |
랜덤 한국어 명언 API 개발 (1) | 2024.04.30 |
2. 8살짜리 버스_봇에 오픈소스 기여를 해보자. 해결 방법 및 회고 (1) | 2024.04.19 |
개발 블로그, 왜 해야 하고 절대로 쓰면 안되는 글 알려드림 (1)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