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개발 블로그요?
글을 쓰기 전에 말하자면 사실 벨로그에 어그로 썸네일로 조회수만 빨아먹으려고 했던 내가 개발 블로그에 대해서 쓰는게 좀 어불성설이다. 하지만 근데 이거 읽는 사람들은 나처럼 실수를 안 했으면 해서 이 글을 한번 써본다.
그거 왜 하는건데?
솔직히 말하자. 다 취업하고 싶어서 그러는 거 아니겠냐. 아 물론 진짜 정보 공유와 개발 생태계의 이점을 주고 싶은 사람도 있을 거다. 근데 일단 이 글을 읽는 사람의 대부분은 취준생 아니겠나. 난 개발 블로그는 취업을 하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들 중 탑 3에 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꼭 해야하냐?
딱 집어 주겠다. 글을 적게 써도 되니까 꼭 하라고 하고 싶다. 근데 막상 이 글을 쓰는 나는 왜 안 했냐고? 하 이런 말 하기 싫은데 진짜 조온 나 후회 중이다. 제발 너희들은 꼭 해라 나중에 블로그 글 써보려고 하면 기억 하나도 안 나서 쓰기 엄청 어렵다. 문서화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다.
그럼 뭘 써야하는데
취업 준비를 위해 써야 하는 글 내가 딱 집어주겠다. 딱 이거만 써라. 양 늘린다고 이상한 거 썼다가 똥 된다.
- 프로젝트에 대한 회고(내가 뭘 했는지)
- 개발하다가 어떤 트러블을 만났는지, 그 트러블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쓰는 트러블 슈팅
- 자신의 확고한 인사이트가 담긴 글
- 혹은 남에게 도움이 될만한 글
이거 쓰면 내가 찾아가서 딱밤을 때려주마.
얼마 전 트위터에서 유행했었던 트윗들이다.
보이는가? 한때는 성실함으로 보이던 블로그, 1일 1커밋이 다크 패턴으로 인식되기도 한다.(물론 절대로 모든 1일 1커밋과 블로그가 다크 패턴이란 게 아니다.) 이젠 부트 캠프와 학원에서 취업을 시키기 위해 생산성 없는 커밋과 쓰잘머리 없는 글을 찍어내라고 시킨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들도 한 번쯤 봤을 거다. 개발하다 막혀서 구글에 쳐봤는데 글과 내용이 똑같은 블로그 글이 3개쯤 보인 적. 누가 뺏긴 건지 몰라도 이딴 글 보면 진짜 화가 치밀어 오른다.
그러니까 절때 쓰지말아야 할 꺼 알려준다.(사실 이미 위 이미지에도 다 써있다.)
1. 아무런 생각도 없이 공식문서에 써있는 문법이나 설치방법, 라이브러리 설치방법 쓰기
이건 남이 읽어봤을 때 도움이 하나도 안되는 글이다. 어디에나 널린 내용이고 네가 머릿속에서 생각한 내용이 하나도 없잖냐.
2. 남의 글 그대로 복붙하기
이건 사실상 범죄 아니냐? 아니 근데 놀랍게도 이런 글이 꽤 많다. 어디 뭐 좀 상세하게 써진 블로그 글의 어느 부분만 딱 잘라서 지 블로그에 올려버린다. 진짜 제발 하지 마라
그래서 결론적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뭐냐면...
위에 쓰지 말라 하는 글 올릴 거면 그냥 블로그를 안 하는 게 나을 거다.
물론 그래도 하라고 하는 사람이나 좋게 보는 있을 수도 있지만.. 트위터만 봐도 그런 반응이 한 5 대 5 되는 거 같다. 가만히 있는 놈이 중간은 간다는 말이 있지 않는가? 물론 사람마다 의견은 다 다르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이상하게 블로그 쓸 시간에서 블로그 쓰지 말고 개발 공부 조금 더 하고 이력서 & 포트폴리오 열심히 만드는 게 훨씬 이득인 거 같다. 특히 내가 조회수 어그로 빨고 내용에 뼈 없는 글을 몇 개 썼던 입장에서 그때 생각만 하면 이불킥 마렵다... 내가 1학년 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절대 그런 글 쓰지 않을 거다..
아니 이런 글을 여기까지 읽으셨다고요?
토요일 4시에 야구 보면서 끄적거린 글을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휘도 공격적이고 다듬어지지도 않은 디시 말투의 글을 다 읽으셨다면 당신은 정말 좋은 사람이군용.
끝으로 저 원래 이런 말투로 말 안 하고 착한 사람이니까. 구인이던 연애던 야구친구던 많은 연락 바랍니다.
기봄
gwon.us
https://www.rallit.com/hub/resumes/24850/%EA%B6%8C%EA%B8%B0%EB%B2%94
프론트엔드 개발자 - 권기범 이력서
안녕하세요! 제가 만들어낸 아이템이 사람들에게 사용될 때,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줄 때, 비즈니스 가치로써 성공 할 때 기쁨과 희열이 좋아서 개발 하고 있는 웹개발자 권기범 입니다.
www.rallit.com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tepress로 마크다운 기반 TIL 저장소를 만들자. (0) | 2024.07.10 |
---|---|
2024년, 중학생이 개발자를 꿈꾼다면 특성화고는 아직 할만한 선택지다. (1) | 2024.06.14 |
랜덤 한국어 명언 API 개발 (1) | 2024.04.30 |
2. 8살짜리 버스_봇에 오픈소스 기여를 해보자. 해결 방법 및 회고 (1) | 2024.04.19 |
1. 8살짜리 버스_봇에 오픈소스 기여를 해보자. 프젝 설명 및 이슈 생성 (1) | 2024.04.19 |